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추천 가젯

Global Value Chain과 세계 교역 증가율로 바라본 한국 성장률

[Planet10] Global Value Chain과 세계 교역 증가율로 바라본 한국 성장률 ⊙ 상반기 한국 GDP는 분기별로 평균 0.35%(전기비) 성장했다. 지난 해 평균 전기비 성장률이 0.75%였던 것을 감안하면 절반 이하로 성장 모멘텀이 둔화된 것이다. ⊙ 분기별로는 건설투자, 재정지출 등이 GDP 성장률을 크게 변화시키기도 하지만, 한국 성장률은 수출 증가율에 연동된 흐름을 보인다. 한국 수출 금액은 9년전과 동일한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다.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∙수출 대상의 경제 상황이 아닌, 글로벌 교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구조적 변화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교역 환경을 돌아보았다. ⊙ 보호무역은 지난 해부터 주요 이슈로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을 좌우하고 있지만, 전세계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, 지역교역협정(RTA)의 증가 속도 등은 2010년대 들어 이미 둔화되기 시작했다. 세계 교역은 1986~1994년 우루과이 라운드를 거쳐, 1995년 WTO체제가 출범되며 빠른 성장을 지속했다. 2001년 중국의 WTO가입은 글로벌 밸류 체인 확대와 교역량 급증의 바탕이 된 상징적인 사건이었다. 1970년 10%대 초반이었던 글로벌 교역량/세계 GDP 비중은 2008년 30.6%로 크게 높아졌다. ⊙ 글로벌 교역이 구조적으로 변화되었다는 주장은 2013년 이후 본격화되었다. 이유는 글로벌 경기 침체 이후 경제는 어느 정도 회복했지만, GDP 중 수출 비중은 감소 추세가 지속되었기 때문이다. RTA 증가 건수도 줄어들기 시작했다.  ⊙ 불확실성 증대, 원자재가격 하락, 보호무역주의 확대 등 여러 가지 해석이 있지만, 글로벌 밸류 체인이라는 관점에서 세계 교역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. 글로벌 밸류 체인 확대로 최종수요의 확대보다 빠른 교역량의 증가가 이루어졌으나, 반대의 경우에는 최종수요의 감소보다 교역량이 더 빠르게 줄어든다는 것이다. 용어가 어렵지만 최종재를 1 수출하기 위해, 원자재 0.5+생산 설비를 위한 중간재 수

최근 글

‘98년 일본에서 한국 증시의 답을 구하다

‘09년 경기침체 보다 낮은 중국의 성장률. 다만 성장 둔화가 불안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.

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국가의 개수를 세어보았다.

원/달러와 연준으로 본 국내 증시 추가 하락 가능성

좋은 금리 하락 vs. 나쁜 금리 하락. 미 국채 10년물 1.5%가 임계점

9년 전으로 돌아간 한국 수출

G20(Positive), 북미정상회담(Neutral), 일본 수출 규제(Negative)

[S&P500_Top15 & Bottom15] 바이오 메가딜 이슈가 등락을 좌우한 한 주

G20 결과는 몰라도 통화완화+달러약세 환경인 것은 안다.

[Planet10] 유동성을 확인할 7월